티스토리 뷰
반응형
대한민국 역사 교육을 받다 보면 한반도의 북쪽에서 등장했던 거란(요), 여진(금), 몽골(원) 세 민족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. 하지만 이들 세 민족은 시대, 위치, 성격이 다르며, 그 등장과 활동이 서로 얽혀 있어 헷갈리기 쉽습니다.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거란, 여진, 몽골 세 민족을 중심으로 그들의 역사적 배경, 한반도와의 관계, 그리고 이를 구별하는 방법을 재미있고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거란, 여진, 몽골: 그들은 누구인가?
1. 거란: 요나라를 세운 북방 민족
- 등장 시기: 10세기~12세기
- 대표 국가: 요(遼)
- 활동 지역: 만주 및 중국 북부 지역
- 주요 특징: 유목민족에서 점차 정착하며 고도로 발전된 문화를 이루어, 송나라를 압박하고 고려를 침략했던 민족입니다.
2. 여진: 금나라를 세운 새로운 강자
- 등장 시기: 12세기~13세기
- 대표 국가: 금(金)
- 활동 지역: 만주 전역, 이후 중국 북부와 중앙아시아 일부까지 확장
- 주요 특징: 여진족은 거란을 몰아내고 금나라를 세우며 한반도, 특히 고려와도 밀접한 역사를 만들었으며, 나중에는 조선족의 조상이 되기도 했습니다.
3. 몽골: 세계를 정복한 초원의 지배자
- 등장 시기: 13세기
- 대표 국가: 몽골 제국(원)
- 활동 지역: 몽골 초원, 동아시아, 유라시아 대륙 전역
- 주요 특징: 칭기즈칸의 출현으로 시작된 몽골 제국은 역사상 가장 거대했던 유목 제국이며, 고려를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을 강력하게 지배했던 민족입니다.
거란, 여진, 몽골의 시대 구분법
이 세 민족을 헷갈리지 않으려면 그들의 활동한 시대와 역사적 상황을 바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10~12세기: 거란(요)이 중국 북부와 한반도 북부에서 활동. 고려를 침략했던 3차 거란 침입(1018년)도 이 시기에 일어났습니다.
- 12~13세기: 여진(금)이 거란을 멸망시키고 강력한 금나라를 세우며, 고려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합니다.
- 13~14세기: 몽골(원)이 금나라를 멸망시키고 고려를 포함해 동아시아 대부분을 지배했던 시기입니다.
거란의 역사와 한반도와의 관계
1. 거란의 기원과 요나라 건국
- 거란족은 만주와 몽골 초원에서 활동하던 유목 민족으로, 계태(耶律阿保機)가 916년에 요나라를 세우면서 강력한 국가로 부상했습니다.
- 거란은 송나라와 끊임없이 대치하면서 송-요 전쟁을 벌였고, 이 와중에 고려와도 충돌하게 됩니다.
2. 고려와 거란의 충돌: 3차례 침입
- 첫 번째 침입(993년): 거란은 "송과의 관계를 끊고 우리와 교류하라"고 압박하며 고려를 침략했지만, 서희의 외교로 만주 일부를 얻는 데 그칩니다.
- 두 번째 침입(1010년): 강감찬이 이끄는 고려군이 패배했지만, 당시 거란 군대는 물러나게 되었습니다.
- 세 번째 침입(1018년): 귀주대첩에서 강감찬 장군이 대승을 거두며 고려는 거란의 위협에서 벗어납니다.
3. 거란의 쇠퇴와 멸망
- 요나라는 여진족에 의해 멸망(1125년)하며, 만주의 패권은 여진족에게 넘어갑니다.
여진: 강성한 금나라의 건국과 팽창
1. 여진족의 기원과 성장
- 여진족은 거란과 마찬가지로 만주 지역에서 성장한 유목 및 농경 혼합 민족으로, 초기에는 요나라의 지배를 받았습니다.
- 여진족의 지도자 아구다는 1115년 금나라를 세우고 요를 몰아내며 중국 북부를 차지하였습니다.
2. 금나라와 고려의 관계
- 금나라 건국 초기에 고려는 여진족과 갈등을 겪었습니다.
- 여진 정벌: 고려 초기에는 여진족을 정벌하여 국경을 안정화하려 했으나, 이후 금나라의 성장으로 고려는 금에 조공을 바치며 관계를 유지해야 했습니다.
3. 금나라의 위기
- 여진이 세운 금은 이후 몽골 제국의 침입을 받으면서 1234년 완전히 멸망했습니다.
몽골: 세계를 정복한 제국
1. 칭기즈칸과 몽골 제국의 탄생
- 1206년, 칭기즈칸이 몽골 제국을 세우며 초원을 통합했고, 이후 아시아 및 유럽의 많은 지역을 정복했습니다.
- 몽골 제국은 금나라를 비롯해 거대한 지역을 지배했으며, 1271년에는 쿠빌라이 칸이 원나라를 세웠습니다.
2. 고려와 몽골: 항쟁과 굴복
- 몽골은 1231년부터 수차례 고려를 침략했으며, 고려는 이에 저항했지만 결국 몽골에 굴복했습니다.
- 강화도 천도(1232년): 몽골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고려는 강화도로 천도했으나, 이는 장기적으로 몽골의 압박을 완화하지 못했습니다.
- 몽골의 지배 하에서 고려는 내정 간섭을 받으며, 몽골과 혼인을 통해 왕실의 관계를 맺게 됩니다.
3. 몽골의 쇠퇴
- 원나라는 내부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점차 쇠퇴했고, 결국 명나라에 의해 1368년에 멸망합니다.
거란, 여진, 몽골 비교: 이들의 차이는 무엇인가?
항목 | 거란 (요) | 여진 (금) | 몽골 (원) |
활동 시기 | 10~12세기 | 12~13세기 | 13~14세기 |
주요 국가 | 요나라 | 금나라 | 원나라 (몽골 제국) |
활동 지역 | 만주, 중국 북부 | 만주, 중국 북부 | 몽골 초원, 동아시아 및 유라시아 전역 |
한반도와 관계 | 고려를 3차례 침략 | 고려와 국경 분쟁 후 조공 관계 | 고려를 침략한 뒤 내정 간섭 |
멸망 원인 | 여진족의 금나라 건국 | 몽골의 침입 | 명나라의 등장과 내부 갈등 |
맺음말: 복잡하지만 흥미로운 북방의 역사
거란, 여진, 몽골은 서로 다른 시대와 맥락에서 활동하며, 동아시아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.
- 거란은 고려와 맞서 싸웠고,
- 여진은 한반도 북쪽과 교역하며 국경을 흔들었으며,
- 몽골은 강력한 힘으로 고려를 압박하고 지배했지만, 결국 쇠퇴하며 새로운 시대를 열게 했습니다.
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유목민 출신으로, 동아시아의 역사적 전환기를 만들어 냈다는 점입니다. 각 민족이 어떤 시대에 어디에서 활동했으며 무엇을 대표했는지를 이해하면, 더 이상 헷갈리지 않고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.
참고자료
- 『고려사』, 『동아시아 세계의 역사』
-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(http://db.history.go.kr)
- 유홍준, 『한국사 특강』
- 미야지마 히로시, 『몽골 제국과 고려』
반응형
'역사 여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전체와 편년체: 사마천의 《사기》와 뛰어난 역사 기록 형식의 비교 (1) | 2025.04.29 |
---|---|
반달돌칼은 철제 농기구일까? 신석기인의 손끝에서 현대 농기구의 뿌리를 찾다 (0) | 2025.04.29 |
"조선시대의 제사 담당자: 사당과 제례를 지킨 이들의 이야기" - 전통 문화 속 제사장의 역할과 의의 (0) | 2025.04.28 |
"고구려 후기 사건: 역사의 흐름과 여제동맹의 역할" - 격동의 삼국사 극장에서 벌어진 주요 사건 정리 (1) | 2025.04.28 |
흉노와 5호: 한 무제의 정복과 그 후의 변화 (0) | 2025.04.28 |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링크
TAG
- 고조선
- 역사적 사건
- 조선시대
- 한국 역사
- 한국 현대사
- 박정희
- 제2차 세계대전
- 프랑스 혁명
- 중국 역사
- 일제강점기
- 고구려
- 일본 역사
- 냉전
- 민주주의
- 동학농민운동
- 조선 후기
- 백제
- 임진왜란
- 왕권 강화
- 일본 제국주의
- 역사적 교훈
- 한국사
- 신라
- 독립운동
- 삼국시대
- 동아시아 역사
- 조선 역사
- 갑오개혁
- 조선 왕조
- 전두환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